[시사경제] 용어정리 (20)
18 Dec 2020 | Economics 시사경제MMDA
Money Market Deposit Account의 약자로 수시 입출금식 예금을 말한다. 보통예금처럼 수시로 입출금할 수 있는 동시에 금리도 높다. 또한 하루만 맡겨도 연 1.9% 이상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500만원 미만의 소액이거나 법인의 경우, 예치기간이 7일 미만일 때는 이자율이 낮거나 없을 수도 있다. MMDA는 은행에서만 가입이 가능하다.
전략적 자산배분 (SAA)
투자의사결정을 할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의 투자비중을 정하는 것을 말한다. 연기금 등 장기투자자들의 장기 자산배분은 경기변동 사이클 등과 무관하게 주식이나 채권의 장기수익률 및 위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때 기금의 목표수익률과 허용위험한도를 충족하도록 결정하는데, SAA(Strategic Asset Allocation)는 운용수익의 90% 이상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투자의사결정이다. 이론적으로 장기는 통상 10년 이상의 기간으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실제 실무에서는 1년 단위로 자산배분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조인트 벤처
자본 활용, 기술 이전, 판매시장 개척, 값싼 노동력 확보 등의 목적으로 2개 이상의 회사가 서로 자본을 투자해 설립하는 합작회사.
단일청구기간 풋 (One-Time Put)
단일청구기간 풋은 단축가능채권의 소유자가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풋 옵션을 말한다. 단축가능채권은 채권소유자가 만기 이전에 일정한 간격으로 채권의 만기일을 명시된 기일로 단축할 수 있는 채권이다. 이 때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는데, 단일청구기간 풋은 청구기간이 한 번 뿐인 경우를 말한다.
내부거래
같은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계열사)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 팔거나 인력을 지원하는 등의 거래행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계열사 간의 거래가 모두 위법하다고는 볼 수 없지만 부당 내부거래로 인정될 경우 문제가 된다.
부당 내부거래의 네 가지 유형에는 제품가격/거래조건 등을 계열사에 유리하게 적용하는 차별거래, 임직원에게 자사 제품을 사거나 팔도록 강요하는 사내판매 강요행위, 납품업체에 자기 회사 제품을 사도록 떠맡기는 거래강제, 정당한 이유 없이 비계열사와의 거래를 기피하는 거래거절 등이 있다.
출처: 기획재정부/KDI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