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용어정리 (24) · starfishkenny's Ocean

[시사경제] 용어정리 (24)

|

콜오버 (Call Over)

콜오버는 콜옵션 구매자가 보유한 옵션을 행사할 때를 가리킨다.

옵션 거래에 있어서 옵션 구매자는 자신이 보유한 옵션을 사용하여 기초자산(주식 등)을 행사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아메리칸 스타일 옵션의 경우 만기일 이전에도 행사가 가능하지만, 유러피안 옵션의 경우에는 만기일 때에만 콜오버가 가능하다.

VIX ETN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증권(ETN)을 말한다.

VIX는 미국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S&P500지수가 향후 30일간 얼마나 움직일지에 대한 주식시장 참가자들의 예상치를 나타내는 지수다. 증시가 급락하거나 불안할수록 수치가 올라 ‘공포 지수’로도 불린다.

VIX 선물 ETN은 증시 하락에 대비한 위험 헤지형 상품으로 유용하며 국내에서도 상장되어 있다.

’* 참고: https://www.notion.so/VIX-797d9faa489d48159c4471ed7c68ba4c’

하이일드펀드 (High Yield Fund)

수익률은 매우 높은 반면 신용도가 취약해 정크본드라고 불리는 고수익고위험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하며, 그레이 펀드 또는 투기채 펀드로도 불린다. 만기까지 중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이고 증권거래소에 상장된다는 점 등 겉으로는 뮤추얼펀드와 비슷하다.

하이일드펀드는 자산의 50% 이상을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투기등급 채권과 B+ 이하의 기업어음에 투자하고, 채권의 신용등급이 투자부적격(BB+ 이하)인 채권을 주로 편입해 운용하는 펀드이므로 발행자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정상채권에 비해 상당히 높다. 따라서 투자를 잘하면 고수익이 보장되지만 반대의 경우 원금을 날릴 수도 있다.

투신사가 보유 중인 투기등급 채권의 소화를 위해 정부가 하이일드펀드를 허용하여 1999년 11월부터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기 시작하였는데, 일반 투자자의 위험부담을 경감하고 기대수익률을 높이기 위하여 부분원금 보전, 비과세 혜택, 공모주 우선청약권 등 다양한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태스크포스 (Task Force)

특수임무가 부여된 특별 편제의 부대인 기동부대라는 군사용어에서 시작하여 널리 일반 조직에도 쓰이게 된 개념이며, 프로젝트 팀이라고도 한다.

조직이 특정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별도로 설치하는 임시조직을 말한다. 경영에서는 ‘과업집단’이라고 번역되며, 태스크포스는 각 전문가들로 구성된 일시적인 조직으로서, 특정 목표의 완수나 일정 시점이 지나면 그 조직은 해산된 후 그 다음 과제를 위하여 새로운 태스크포스가 편성된다. 이를 통해 조직 전체를 환경변화에 유연한 동태적 조직으로 만들 수 있다.

출처: 기획재정부/KDI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