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용어정리 (37) · starfishkenny's Ocean

[시사경제] 용어정리 (37)

|

백로효과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해 희소성이 떨어지면 그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소비현상. 남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값비싼 상품을 보면 오히려 사고 싶어하는 속물근성에서 유래한다.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자신은 남과 다르다는 생각을 갖는 것을 우아한 백로에 빗댄 것으로, 속물을 뜻하는 영어인 snob을 사용해 스놉효과라고도 한다.

서킷브레이크 (주식거래중단제도)

전기 회로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과열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하듯,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주식거래 중단제도라고도 한다.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CB라고도 한다.

1987년 10월 미국에서 사상 최악의 주가 대폭락사태인 블랙먼데이 이후 주식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경우 10%, 20%, 30%의 하락 상황에 따라 1~2시간 거래가 중단되거나 아예 그날 시장이 멈춰버리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8년 12월 7일부터 국내주식 가격제한 폭이 상하 15%로 확대되면서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됐다. 한국의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 지수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지수 대비 8% 이상 폭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하면 발동된다. 이 경우, 현물주식 뿐 아니라 선물과 옵션의 모든 주문이 20분간 일체 중단되고 이후 10분간 동시호가를 접수해서 매매를 재개한다.

2015년 6월 가격제한폭이 상하 30%로 확대되면서, 서킷브레이커가 3단계로 세분화되었다. 1단계는 최초로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한 경우 발동된다. 1단계 발동시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2단계는 전일에 비해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2단계 발동시 1단계와 마찬가지로 20분간 모든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3단계는 전일에 비해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대비 1% 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발동되며, 발동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주식거래가 종료된다. 코스피200 선물옵션시장에서의 서킷브레이커는 지수선물이 전일종가 대비 ±5%, 이론가 대비 괴리율이 ±3%일 경우에, 현물시장에 비해 선물시장의 과도한 등락을 막고 선물시장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코스피지수 10% 등락과 관계없이 코스피200 선물옵션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다. 이렇게 서킷브레이커가 걸리면 15분간 선물과 옵션 거래가 중단된다.

서킷브레이커는 하루에 한 차례 발동되며, 종료 40분 전(평일 14:20, 토요일 10:50) 이후에는 주가가 아무리 폭락해도 발동할 수 없다.

2016년 2월 12일 오전 11시 55분 코스닥지수가 8% 넘게 폭락하면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폭락 원인으로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남측 인원 추방 조치로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도미노 하락이 꼽혔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일보다 39.24포인트(6.06%) 떨어진 608.45로 장을 마감했다. 서킷브레이커 발동은 역대 7번째로 2011년 8월 8일, 8월 9일 이후 4년 6개월 만이었다.

2020년 3월 13일 코스닥지수와 코스피지수에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무더기로 발동되었다. 폭락 원인은 코로나 19 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에 도미노 하락이 꼽혔다.’, 위키피디아)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서 경기가 침체하여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실업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케인즈 학파는 원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는 안정적인 역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 안정적인 역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정부는 경제정책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경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높은 실업률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현상이 서구 국가들을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에 생기는 역의 관계는 안정적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다.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으로 케인즈 학파의 전통적 이론은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한 통일된 정설은 없지만, 경제학에서는 석유 및 원자재 파동 등과 같은 공급충격과 지속적인 총수요관리정책에 따른 예상 인플레이션 상향조정 등을 그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출처: 기획재정부/KDI

Comments